본문 바로가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기업은 손해인 것을 알면서도 자사주를 매입하여 소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by PBMI 2024. 3. 22.
728x90
반응형

기업이 손해를 인지하면서도 자사주를 매입하여 소각하는 이유는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자사주 매입은 기업이 시장에서 자신의 주식을 사들여 주식의 수를 감소시키는 행위이며,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옵니다.

1. 주당 이익(EPS) 증가: 주식 수가 줄어들면 동일한 이익을 더 적은 수의 주식으로 나누기 때문에 주당 이익이 증가합니다. 이는 주식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2. 주가 상승 압력: 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함으로써 주식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이는 주가를 상승시키는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3. 배당 수익률 향상: 주식 수가 감소하면, 같은 금액의 배당을 적은 수의 주식에 분배하게 되므로 주주들의 배당 수익률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4. 신뢰성 제고: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은 시장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이 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자신의 주식 가치가 현재보다 더 높다고 판단하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가 상승을 기대하며 자사주를 매입할 수 있습니다.

5. 방어적 전략: 때로는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하여 소각함으로써 적대적 인수를 방어하려는 전략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주식이 시장에 적게 유통되면 인수를 시도하는 다른 기업이 충분한 지분을 확보하기 어려워집니다.

6. 자본구조 최적화: 기업은 자사주 매입을 통해 부채와 자본의 비율을 조정하여 자본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비록 단기적으로 현금을 사용하여 주식을 매입하는 것이 비용이 발생하는 행위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가치를 높이고 주주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는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